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회사의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50,000원이고, 주당순자산(BPS)이 100,000원이라면
PBR = 0.5 → 1보다 낮다 = 저평가 가능성
하지만! 단순히 PBR이 낮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 업종 평균 PBR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업종 | 평균 PBR | 특징 |
은행 | 0.4~0.6 | 자산 기반 업종, 낮은 PBR이 일반적 |
보험 | 0.5~0.8 | 안정성 있지만 성장성 낮음 |
철강/화학 | 0.6~1.0 | 경기민감주, 변동성 있음 |
반도체/IT | 1.5~3.0 | 성장 기대 반영, 높은 PBR 허용 |
바이오 | 3.0~10.0 | 미래 수익 기대 반영, 실적 없는 고PBR |
유통/소비재 | 1.0~2.0 | 실적과 성장의 균형 업종 |
✔️ 같은 업종 내에서 PBR이 지속적으로 낮고, 실적이 개선 중인 기업 → 저평가 가능성↑
종목 | PBR | ROE | 주석 |
A은행 | 0.4 | 9% | 저평가 + 고ROE → 관심 종목 가능 |
B은행 | 0.6 | 5% | 적정 수준 |
C은행 | 0.3 | -1% | 저PBR이나 적자 지속 → 주의 필요 |
📌 PBR이 낮고, ROE가 높거나 개선 중인 종목은 가치투자자들에게 주목받는 종목입니다.
PBR은 단순한 숫자지만,
업종별 평균과의 비교, 기업의 실적 흐름과의 조합을 통해
저평가 종목을 찾는 유용한 나침반이 됩니다.
가치 투자의 핵심은 싸게 사서 오래 가져가는 것.
PBR 분석은 그 첫 단추입니다.
📌 다음 글 예고:
👉 “ROE로 보는 수익성 투자 전략: 고ROE 기업 찾는 법”
📊 ROA vs ROE: 총자산과 자기자본 수익률의 차이와 활용법 (0) | 2025.06.17 |
---|---|
📈 ROE로 보는 수익성 투자 전략: 고ROE 기업 찾는 법 (0) | 2025.06.17 |
💸 적립식 투자란? 매월 10만 원으로 시작하는 재테크 방법 (3) | 2025.06.17 |
📁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법: 국내 ETF + 해외 ETF 조합 예시 (0) | 2025.06.17 |
⚖️ 안정적인 장기 투자 vs 공격적인 단기 매매 전략 비교 (6)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