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에서는 대부분 수동 설정 또는 DHCP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했지만,
IPv6는 주소 수가 방대해지면서 자동 설정(Autoconfiguration) 기능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IPv6 네트워크에서는 장비가 스스로 IP를 얻고, 라우터 정보를 수집하며,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IPv6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IP를 자동 설정합니다.
라우터 광고(Router Advertisement, RA)를 이용해 장치가 스스로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
장점
단점
서버가 주소를 직접 할당하거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IPv4의 DHCP처럼, IPv6에서도 DHCPv6 서버가 작동할 수 있습니다.
DHCPv6 두 가지 방식
구분 | Stateless DHCPv6 | Stateful DHCPv6 |
IP 주소 설정 | SLAAC로 생성 | DHCPv6 서버가 직접 할당 |
추가 정보(DNS 등) 제공 | DHCPv6 서버 사용 | DHCPv6 서버 사용 |
주소 관리 | 없음 (비관리형) | 있음 (서버에서 관리) |
사용 예시 | 단순 네트워크 | 기업, 관리 필요 네트워크 |
IPv6는 훨씬 유연하고 스마트하게 주소를 자동 설정합니다.
SLAAC는 간편한 기본 통신을, DHCPv6는 추가 정보 제공 및 네트워크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네트워크 규모와 보안 요구사항에 따라 어떤 방식을 쓸지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Pv6 트러블슈팅 실전 가이드핑, 트레이서트, Neighbor Table 분석법 (1) | 2025.04.14 |
---|---|
IPv6 Neighbor Discovery Protocol(NDP) 완전 정복 (0) | 2025.04.14 |
IPv6 주소 체계 완벽 해설: 글로벌 유니캐스트부터 링크 로컬까지 (0) | 2025.04.14 |
IPv6란 무엇인가? IPv4와의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4.14 |
맥OS에서 스팟라이트(Spotlight) 검색 최적화하기 | 맥 검색 속도 향상 및 설정 방법 (1)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