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IPv6 주소 체계 완벽 해설: 글로벌 유니캐스트부터 링크 로컬까지

사아칸그넘 2025. 4. 14. 16:34

1. IPv6 주소란?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해,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합니다.
IPv4와 다르게 주소 유형이 세분화되어,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주소 체계를 제공합니다.


2. IPv6 주소 구성

  • 128비트 = 16바이트
  • 16비트(4자리)씩 구분해 총 8개 블록
  • 콜론(:)으로 블록 구분
  • 연속된 0은 생략(::) 가능

예시:

 
2001:0db8:0000:0042:0000:8a2e:0370:7334
줄이면 2001:db8:0:42::8a2e:370:7334

3. 주요 IPv6 주소 유형

① 글로벌 유니캐스트(Global Unicast Address)

  • 전 세계에서 고유하고 라우팅 가능한 주소
  • IPv4의 Public IP와 유사
  • 시작 블록: 2000::/3
  • 예: 2001:db8::/32

② 링크-로컬(Link-Local Address)

  • 같은 링크(로컬 네트워크) 내 통신용
  • 자동 생성되어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통신
  • 시작 블록: FE80::/10
  • 예: fe80::1c2:3eff:fe4e:5d2

③ 유니크 로컬(Unique Local Address, ULA)

  • 내부 전용 네트워크 통신 (IPv4의 Private IP 유사)
  • 시작 블록: FC00::/7
  • 예: fd12:3456:789a::1

④ 멀티캐스트(Multicast Address)

  • 하나의 패킷을 여러 장치로 전송
  • IPv4의 멀티캐스트(224.0.0.0/4)와 유사
  • 시작 블록: FF00::/8
  • 예: ff02::1 (모든 노드)

⑤ 애니캐스트(Anycast Address)

  • 여러 장치 중 가장 가까운 노드에 전송
  • 특정 서비스(예: DNS 서버)에 사용

4. IPv6 주소 자동 설정

  • SLAAC로 링크-로컬 주소를 자동 생성
  •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는 DHCPv6 또는 SLAAC+RA로 설정

5. 결론

IPv6는 주소 체계를 다양화해, 유연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IPv6 주소 유형을 이해하면 네트워크 설계와 트러블슈팅이 훨씬 쉬워집니다.